> 시설 이용 > 제사상 준비
대추 | 1팩 | 북어포/러시아 | 1마리 | 삼탕(육탕) | 1그릇 | 녹두전 | 5장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밤 | 1팩(9개) | 고사리/중국 | 200g | 삼탕(소탕) | 1그릇 | 꼬치전 | 9장 |
배 | 5개 | 무나물(도라지) | 200g | 삼탕(어탕) | 1그릇 | 어전(동태/러시아) | 350g |
곳감/중국 | 9개 | 시금치(파란나무) | 200g | 간장 | 1회분 | 두부적 | 5장 |
사과 | 5개 | 침채(물김치) | 1그릇 | 산적/우육(미국) | 400g | 조기찜/중국 | 3마리 |
약과 | 1팩 | 식혜(밥) | 1그릇 | 육원전 | 300g | 편(떡) | 5장 |
산자 | 1팩 | 약주 | 1병 | 닭찜(계적) | 1마리 | 갱(밥),메(국) | 1~2인분 |
대추 | 1팩 | 북어포/러시아 | 1마리 | 삼탕 | 1그릇 | 어전(동태/러시아) | 250g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밤 | 1팩(7개) | 고사리/중국 | 150g | 간장 | 1회분 | 두부적 | 5장 |
배 | 3개 | 무나물(도라지) | 150g | 산적/우육(미국) | 200g | 조기적 | 1마리 |
곳감 / 중국 | 7개 | 시금치(파란나무) | 150g | 육원전 | 200g | 편(떡) | 3장 |
사과 | 3개 | 침채 | 1그릇 | 녹두전 | 3장 | 갱(밥),메(국) | 1인분 |
약과 | 1팩 | 식혜(밥) | 1그릇 | 꼬치전 | 3장 | 산자 | 1팩 |
제례주 | 1병 |
대추 | 1팩(5개) | 산자 | 1팩 | 식혜(밥) | 1그릇 | 녹두전 | 3장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밤 | 1팩(5개) | 북어포/러시아 | 1마리 | 제례주 | 1병 | 두부적 | 3장 |
배 | 1개 | 고사리/중국 | 100g | 삼탕 | 1그릇 | 조기찜/중국 | 1마리 |
곳감/중국 | 3개 | 무나물(도라지) | 100g | 간장 | 1회분 | 편(떡) | 3장 |
사과 | 1개 | 시금치(파란나무) | 100g | 산적/돈육(한돈) | 200g | 갱(밥),메(국) | 1인분 |
약과 | 1팩(5개) | 침채 | 1그릇 |
제례주 | 1병 | 북어포 | 1마리 | 대추 | 1팩 | 사과 | 1개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배 | 1개 | 곳감/중국 | 3개 |
앞에서 보아 떡국(송편)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. 시접(수저와 대접)은 한 분만 모실 때는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, 두 분을 함께 모실 때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.
보통은 3적으로 육적(육류 적), 어적(어패류 적), 소적(두부 채소류 적)의 순서로 올린다.
적 :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
전 : 재료에 밀가루를 묻혀서 프라이팬에 부친 음식(부침개)
3탕은 육탕(육류 탕), 소탕(두부 채소류 탕), 어탕(어패류 탕)의 순으로 올리며, 5탕으로 할 때는 봉탕(닭, 오리탕), 잡탕 등을 더 올린다.
한 가지 탕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.
좌측 끝에는 포(북어, 대구, 오징어포)를 쓰며 우측 끝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쓴다. 그 중간에 나물 반찬은 콩나물, 숙주나물, 무우나물 순으로 올리고 삼색나물이라 하여 고사리, 도라지, 시금치나물 등을 쓰기도 하며 김치와 청장(간장), 침채(동치미)는 그다음에 올린다.
좌측부터 대추, 밤, 감(곶감), 배(사과)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 과일, 넝쿨 과일 순으로 차린다.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(유과)를 놓는다.